티스토리 뷰
6.13.0 출력 컨덕턴스
> 그림 6.21 (a)와 (b)의 Ids가 Saturation 되었을 때 (a)의 경우 (b)에 비해 불안전하다.
> (a)의 경우 Channel 길이가 짧기 때문이다.
> I-V Curve의 기울기를 출력 컨덕턴스 (Output Conductance)라 한다.
> Ids가 완전히 포화 되는 것, 즉 gds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.
> Ids가 포화되지 않는다면 로직 설계 후 정확도, 신뢰성, 증폭 성능 저하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.
> VTC(Voltage Trasfer Characteristic) 관점에서 아래 증폭 회로를 예를 들 수 있다.
> gds를 사용하여 Vout, Vin 관계식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.
> R이 커지면 이득은 증가하고 R이 무한대이면 최대 이득은 g_msat/g_ds 이다.
> gds가 크면 이득은 줄어들고 같을 땐 1이다.
> 큰 이득을 얻기 위해선 g_ds가 g_mat에 비해 매우 작아야한다.
Reference
-. Chenming Calvin Hu, Modern Semiconductor Devices for Integrated Circuits, PEARSON(2013)
'Semiconductor(반도체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6.15 MOSFET 잡음 (1) | 2024.06.03 |
---|---|
6.14 고주파 성능 (0) | 2024.05.31 |
6.12 속도 오버슛과 소오스 속도 한계 (0) | 2024.05.27 |
6.11 직렬 저항과 유효 채널 길이의 추출 (0) | 2024.05.23 |
6.10 기생 소오스-드레인 저항 (0) | 2024.05.22 |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Laser
- 양자 웰
- Thermal Noise
- 열전자 방출
- Semicondcutor
- Charge Accumulation
- Energy band diagram
- fermi level
- semiconductor
- Depletion Layer
- 문턱 전압
- Optic Fiber
- Pinch Off
- Fiber Optic
- Donor
- CD
- Diode
- MOS
- 광 흡수
- 반도체
- C언어 #C Programming
- PN Junction
- pn 접합
- Reverse Bias
- Acceptor
- Blu-ray
- 쇼트키
- EBD
- channeling
- Solar cell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