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3.6.1 도펀트 확산
> Dopant를 Si에 주입은 일반적으로 이온 임플랜테이션으로 진행된다.
> 임플랜테이션 후 더 깊게 Dopant를 밀어 넣어야 하는 경우도 생긴다.
> 이 때 확산(Diffusion)을 이용한다.
> 이 때 확산은 Anneal(열처리)을 통해서 확산이 진행되고 원하지 않는 깊이까지 확산될 수 있다.
> 확산 층의 두께를 접합 깊이(Junction Depth)이라고 한다.
> 확산이 된 Dopant의 농도는 가우시안 분포를 형성한다.
> 확산 비율은 온도가 상승하면서 증가한다.
> 확산 온도는 보통 900°C~1200°C 범위에 있다.
> Dopant 기체/고체 증착 확산에서느 소스를 공급하는 공정 단계를 Predepostion이라고 한다.
> 소스가 차단되고 소스가 Diffusion되는 단계를 Drive In이라고 한다.
> 치즈르 뿌리고(Predeposition) 녹이는 작업(Drive In)이라고 생각하면 쉽다.
> 다행히 상온에서는 Dopant의 확산도가 미미하다.
> 고성능 소자에서 이온 주입의 얕은 깊이를 요구한다.
> 일반적인 Dopant 확산에서 상용되는 Furnace Anneling은 900°C에서 많은 시간이 걸린다.
> 낮은 온도에서 격자 손상이 오래 걸리고 가벼운 Boron의 경우 너무 많이 확산되게 한다.
> 격자 손상이 오래 걸리면 확산이 그 만큼 증가된다.
> 높은 온도에서 격자 손상이 빨라지고 손상이 어닐링 되면 확산 증진이 줄어들게 된다.
> 이러한 현상을 TED(Transient Enhanced Diffusion)이라고 한다.
>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높은 온도에서 짧은 시간으로 Diffusion 하는 방법들이 고안된다.
> 급속으로 열을 가하는 RTA(Rapid Thermal Annealing), 레이저 Pulse로 하는 Laser Annealing이 있다.

3.6.1 Dopant Diffusion

Reference
-. Chenming Calvin Hu, Modern Semiconductor Devices for Integrated Circuits, PEARSON(2013)
'Semiconductor(반도체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3.8 Back End 공정 (0) | 2023.08.31 |
---|---|
3.7 박막 증착(Thin Film Deposition) (0) | 2023.08.28 |
3.5 도핑(Doping) (0) | 2023.08.26 |
3.4 에칭(Etching) (0) | 2023.08.24 |
3.3 리소그래피 (Lithography) (0) | 2023.08.22 |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Pinch Off
- Energy band diagram
- Thermal Noise
- 광 흡수
- Laser
- PN Junction
- Donor
- Diode
- 반도체
- channeling
- Acceptor
- semiconductor
- Depletion Layer
- pn 접합
- Optic Fiber
- Reverse Bias
- Charge Accumulation
- CD
- 문턱 전압
- fermi level
- 쇼트키
- Fiber Optic
- MOS
- 양자 웰
- Semicondcutor
- C언어 #C Programming
- 열전자 방출
- Blu-ray
- Solar cell
- EBD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